[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경기도가 내년 상반기 산업통상자원부의 3기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 추가 지정을 앞두고 도내 시군 지원을 위한 사전설명회를 열고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도는 12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도내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2026년 신규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을 위한 전략을 공유했다.
경기도, 3기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사전설명회’ 개최(경기도 제공)
이번 설명회에는 15개 시군 및 산업진흥원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정부의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 기본계획(’26~’30)에 따른 지정 준비 절차와 경기도 추진전략이 안내됐다. 도는 도-시·군-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융기원)-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지역 진흥원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문가 자문과 평가를 연계하고, 앵커기업 투자 촉진과 협력 생태계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가 지난달 28일 발표한 소부장 특화단지 종합계획에는 2030년까지 10개 특화단지 추가 지정, 1기 특화단지 지원기간(’26년 종료 예정) 연장, 앵커기업-참여기업-지역 상생 플랫폼 구축, 소부장 정책보험 도입, 수요기업 구매자금 저리 융자 확대 등이 담겼다. 산업부는 내년 상반기 사전 설명회와 컨설팅 후 공모·평가 절차를 거쳐 3기 특화단지를 지정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현재 2021년 지정된 1기 용인 원삼과 2023년 7월 지정된 2기 안성 동신일반산업단지를 운영 중으로, 3기 추가 지정을 통해 권역별 소부장 특화 거점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내년 산업부 사전 설명회에 대비해 시군 수요에 맞춘 소부장 융합특화단지 계획을 마련하고, 기업 간 협력과 산·학·연 클러스터 혁신체계를 강화한다.
박민경 경기도 반도체산업과장은 “향후 경기도 육성 전략 방향과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경기도 권역별 소부장 특화단지가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시군별 전략과제 발굴, 컨소시엄 기반의 평가 대응, 앵커-협력기업 참여 확대를 통해 지정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향후 과제로는 산업부 공모 일정에 맞춘 단계별 로드맵 확정, 민관 연계 투자 프로젝트 발굴, 정책보험·저리 융자 등 정부 지원제도 활용을 통한 실수요 연계 강화가 제시된다. 도는 지정 이후에도 클러스터 운영 성과 관리와 상생 플랫폼 고도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소부장 생태계 확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경기도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3기지정 #산업통상자원부 #용인원삼 #안성동신산단 #융기원 #경과원 #클러스터 #앵커기업 #정책보험 #저리융자 #사전설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