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 최우수상 수상 / 부안군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지방소멸 위기의 시대, 청년이 떠나지 않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부안군의 정책이 전국에서 가장 ‘참 좋은 정책’으로 인정받았다.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이 지난 7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2025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혁신적인 청년정책 수행 지자체로 우뚝 섰다.

이번 대회는 민선 지방자치 30주년을 기념해 전국 48개 지방자치단체가 각자의 대표 정책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자리였다. 참좋은지방정부협의회가 주관하고, 지방분권과 정책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획된 행사로, 각 지자체 단체장들이 직접 무대에 올라 정책 추진 배경과 성과를 설명했다.

그중에서도 부안군은 ‘부안형 청년지원 모델’을 앞세워 압도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정책은 단순한 일자리 창출이나 주거 지원에 그치지 않고, 청년의 일자리·주거·복지·참여 등 전 영역을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한 종합 지원 시스템이다. 청년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청년들이 정책 설계 과정에 직접 참여하며, 정책 수혜자가 아닌 정책 주체로 성장하도록 유도한 점이 특히 돋보였다.

부안군은 이를 통해 청년층의 지역 정착률을 끌어올렸고, 실제로 지역 내 청년 창업 비율과 귀향 청년 인구 비중이 상승하는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부안군의 청년주거 혁신사업은 소규모 농어촌 지역에서도 충분히 지속 가능한 모델로 평가받으며, 타 지자체들의 벤치마킹 사례로 확산되고 있다.

부안군,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 최우수상 수상 / 부안군 제공


권익현 부안군수는 수상 직후 소감을 통해 “청년이 지역의 미래이며, 청년이 머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지방자치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번 수상은 부안군이 단순한 행정기관이 아니라, 청년과 함께 성장하는 동반자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며 “앞으로도 흔들림 없이 청년 중심의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수상을 단순한 정책 성과로만 보지 않는다. 지방소멸이라는 구조적 위기에 맞서, 청년정책을 통해 자치의 본질을 되살린 모범사례로 평가하고 있다. 실제로 부안군의 청년정책은 ‘지방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하는 자치행정의 정점’으로 불릴 만큼, 중앙정부 의존형 정책 틀을 벗어난 독립적 구조를 확립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번 최우수상은 부안군이 앞으로 전북특별자치도의 청년정책을 선도할 중심축으로 부상했음을 상징한다. 그동안 ‘작은 군 단위 지역’이라는 한계를 넘어선 정책 실행력과 현장 중심의 행정이 인정받은 셈이다. 무엇보다 ‘청년이 머물며 일하고,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도시’라는 부안군의 비전은 이제 선언이 아닌 검증된 행정 성과로 자리 잡았다.

부안군의 사례는 지방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전국 지자체들에게 하나의 방향을 제시한다. 자치의 본질은 중앙의 도움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지역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법을 찾아내는 데 있다. 그 점에서 부안군의 행정 철학은 단순히 지역의 정책 성공을 넘어, 대한민국 지방자치의 미래를 비추는 이정표로 남을 것이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부안군 #지방소멸 #참좋은지방자치정책대회 #최우수상 #지방자치단체 #전북특별자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