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간 남도의 하늘과 바다를 수묵으로 물들였던 2025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가 관람객, 예술인들의 뜨거운 호응 속에 전통 수묵의 세계화와 전남 문화예술의 위상을 한층 높이며 지난 10월 31일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두 달간 남도의 하늘과 바다를 수묵으로 물들였던 ‘2025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가 10월 31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이번 비엔날레는 전통과 현대, 지역과 세계가 어우러진 수묵예술의 장으로, 전남의 수묵미학이 세계 미술 담론 속으로 본격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전남 대표 국제예술행사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문명의 이웃들 – Somewhere Over the Yellow Sea’를 주제로 열린 이번 비엔날레에는 국내외 20개국 83명의 작가(팀)가 참여해 전통 수묵의 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300여 점의 작품이 선보였다.


8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목포·진도·해남 일원에서 진행된 전시는 44만 명의 관람객을 끌어모으며 남도 예술의 저력을 보여줬다.

전시는 해남을 ‘뿌리’, 진도를 ‘줄기’, 목포를 ‘세계화의 지점’으로 설정한 나팔관형 전시구성을 통해 수묵의 전통과 현대, 지역과 세계를 잇는 예술적 서사를 완성했다.


특히 해남 고산윤선도박물관에서는 조선 후기 대표 수묵화가 공재 윤두서의 ‘세마도’ 진본이 처음 공개되어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으며, 진도의 남도전통미술관에서는 이응노, 서세옥, 박생광, 황창배, 송수남 등 한국 근현대 수묵화의 거장들이 조명됐다.

새롭게 전시공간으로 꾸며진 목포실내체육관에서는 한지와 고서를 감싼 전광영의 설치작품 ‘집합 001-MY057’, 먹물과 유압장치로 형상을 재현한 폴란드 작가 프셰미스와프 야시엘스키의 ‘remember(me)’, 그리고 레고로 ‘몽유도원도’를 재해석한 황인기의 ‘오래된 바람’ 등이 전통 수묵과 현대 기술의 경계를 허문 대표작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비엔날레는 전통 수묵화뿐 아니라 설치미술·미디어아트·영상 등 다양한 장르의 융합을 통해 ‘수묵의 새로운 물결’을 제시했다.


수묵의 정신이 디지털 예술과 만나며 남도가 한국을 넘어 아시아, 세계로 확장되는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전통의 혁신과 재료의 확장’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심포지엄에는 한국·중국·일본 등 9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동아시아 수묵예술의 현대적 확산 방향을 논의했다. 전남대·목포대 학생을 대상으로 열린 총감독 특강도 청년 세대에게 수묵예술의 현장과 기획의 의미를 전달했다.

관람객들은 “먹의 번짐과 여백이 만들어내는 고요한 울림이 특별했다”, “현대적 공간 속에서 수묵의 숨결을 느꼈다”며 감동을 전했다. 가족단위 관람객을 위한 체험존과 포토존, 카페테리아 등도 호평을 받으며 비엔날레의 대중성을 높였다.

전남문화재단 김은영 대표이사는 “이번 비엔날레는 전통 수묵의 정신을 세계와 공유하며 미래 세대와 소통한 의미 있는 전시였다”며 “향후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아트센터’ 건립과 2027 차기 비엔날레를 통해 수묵의 세계화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목포진도해남 #미디어아트 #전남문화재단 #김은영대표이사 #남도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