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여자만 국가 해양생태공원 조성사업’이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2026년 말까지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최종 통과되면 2027년부터 2031년까지 총 1천697억 원을 들여 해양 생물 보전과 생태·관광 기능을 갖춘 국가 해양생태 거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이미지는 여자만 국가 해양생태공원 조성사업 종합구상도[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는 "『여자만 국가 해양생태공원 조성사업』이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6년 말까지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최종 통과 시, 2027년부터 2031년까지 총 1,697억 원을 투입해 해양 생태와 관광 기능이 결합된 국가 해양생태공원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국내에는 아직 국가 단위의 해양생태공원 조성 선례가 없어, 전남도는 지난 4년간 수십 차례의 계획 보완과 경제성 검증을 거쳐 사업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입증했다.
특히 국내 최장 해안선과 광활한 갯벌, 해양보호구역을 가진 전남의 생태적 강점을 강조하며,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파괴와 어업 인구 감소 등 사업의 시급성과 공익성을 설득해 정부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사업 대상지인 보성·순천 일대 ‘여자만’ 지역은 2021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59.85㎢ 규모의 갯벌과 국내 최대 염습지를 품고 있다. 이곳은 흑두루미, 붉은발말똥게 등 멸종위기종의 서식지이자, 수백 년간 지역민이 바다와 공존해온 생태·문화의 터전이다.
‘작은 지구, 여자만! 자연과 사람이 지켜낸 공존 이야기’를 주제로 추진되는 주요 사업은 해양보호구역 생태계 통합관리센터 구축, 갯벌 복원 및 철새 서식지 확충, 염습지·멸종위기종 보호 및 교육시설 조성, 갯벌 보전 역사관 및 해양생태 전시공간 조성, 육·해상 생태 탐방 인프라 확충 등으로 구성됐다. 완공 시 지역민과 관광객이 함께 누리는 세계적 해양생태 체험공간으로 탄생할 전망이다.
전라남도 김영록 도지사는 “여자만은 대한민국 생태의 심장으로, 이번 예타 대상 선정은 전남도민의 집념이 이룬 값진 결실”이라며 “정부와 순천시, 보성군이 협력해 반드시 예타를 통과시키고, 세계적 해양생태공원의 모범사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 #여자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예비타당성조사 #보성갯벌 #순천갯벌 #유네스코세계자연유산 #김영록지사 #전남생태관광 #해양보호구역